반응형
파이썬 자료형은 크게 문자형과 숫자형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세부적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다.
숫자형 종류
항목 | 설명 및 예시 |
정수 | 0, 1, 2, -1로 표현하며 우리가 일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수 |
실수 | 1.3, -1.2로 표현하며 소수점이 있는 수로 생각하면 됨 (무리수와 유리수의 총칭, 실제 수) |
복소수 | 1+2j, 3j로 표현하며 실수와 허수의 합으로 이루어지는 수 |
그 외 다른 종류도 있지만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결국 정수와 실수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아래와 같은 자료를 숫자형 자료라 하며 연산도 가능하다.
a = 1 b = -123 c = 1.2 [실행] a + b [결과] -122 |
※ 그 외 다른 연산자들은 지난번 [파이썬] 기초문법(1)과 (2)에 정리해 둔 내용이 있으니 참고 바란다.
문자형 사용법
문자형은 따옴표로 감싸서 만드는데 작은따옴표, 큰 따옴표 모두 가능하며, 따옴표 하나를 사용하는 경우와 3개를 연속으로 사용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단, 주의해야 할 점은 큰 따옴표로 시작했으면 큰 따옴표로 끝나고 작은따옴표로 시작했으면 작은따옴표로 끝난다. 또, 연속으로 작은따옴표를 3개 사용한 경우는 마지막에도 연속으로 작은따옴표로 끝나야 한다. 시작과 끝이 동일해야 됨을 알 수 있다. 또 문자열 내에 따옴표를 포함시켜야 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알아보겠다.
따옴표를 문자로 인식하기
# 작은 따옴표를 문장안에 포함해야 하는 경우 아래와 같이 큰 따옴표로 감싸면 작은 따옴표를 문자로 인식하게 된다. 큰 따옴표를 포함시키려는 경우는 반대로 작은 따옴표로 감싸면 된다. [실행] words = "I'm a boy" print(words) [결과] l'm a boy # '\' 기호를 사용하여 문자로 인식할 수 있는데 이 경우는 감싸는 따옴표와 문자로 인식하려는 따옴표가 같아도 상관없다. \'을 문자로 인식하며 표현은 '만 되기 때문이다. [실행] words = 'I\'m a boy' print(words) [결과] l'm a boy |
문자열 줄 바꾸기
# 따옴표 3개를 연속으로 사용하면 줄 바꿈을 인식하며 하나면 사용한 경우는 에러가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처음과 끝은 동일한 따옴표로 표기되어야 한다. [실행] words = """Im a boy""" print(words) [결과] l'm a boy # \n 기호를 사용하여 줄바꿈을 할 수 있다. 이 조합을 줄 바꿈 하라는 것으로 인식하며 이렇게 미리 정의해 둔 문자조합을 이스케이프 코드라 한다. [실행] words = """Im a\n boy""" print(words) [결과] l'm a boy |
문자열 연산
문자열의 연산은 + 인 경우 두 문자를 쭉 나열해서 나타나고 * 인 경우는 반복해서 나타난다.
[실행] a = "Hello " b = "Python" print(a + b) [결과] Hello Python [실행] a * 5 [결과] Hello Hello Hello Hello Hello |
이스케이프 코드
초록색으로 표시된 코드 외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으니 참고로만 알아두자.
코드 | 설명 |
\n | 문자열 안에서 줄을 바꿀 때 사용 |
\t | 문자열 사이에 탭 간격을 줄 때 사용 |
\\ | 문자 \를 문자로 표현할 때 사용 |
\' | 작은 따옴표를 문자로 표현할 때 사용 |
\" | 큰 따옴표를 문자로 표현할 때 사용 |
\r | 캐리지 리턴 |
\f | 폼 피드 |
\a | 벨 소리 |
\b | 백 스페이스 |
\000 | 널 문자 |
728x90
반응형
'방구석코딩 > 파이썬 기초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기초] 문자열 포맷 (0) | 2022.05.04 |
---|---|
[파이썬 기초] 문자열의 인덱싱과 슬라이싱 (0) | 2022.05.02 |
[파이썬] 패키지, 모듈, 함수 비교 (0) | 2022.04.28 |
[파이썬] Random함수, 문자열 줄 바꾸기 (0) | 2022.04.27 |
[파이썬] 기초문법(2) - 기초 연산자/함수 사용 (0) | 2022.04.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