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구석재테크

e심 사용법 및 효율적인 활용 방법, 듀얼 넘버와 다른점은?

by 석세상 2022. 9. 11.
반응형

최근 나온 갤럭시 폴더블 폰을 기준으로 국내 폰도 이제는 e심이 지원된다고 하는데요. 기존에 아이폰 등에서는 꽤 이전부터 사용 가능한 기술이었지만 국내에서만 불가능했다고 합니다. e심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까요?

 

e 심은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하나

우리가 휴대기기를 사용할 때 데이터 전화 등을 사용하기 위해서 유심이라는 칩을 기계에 삽입하여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이와 같이 물리적인 칩을 사용하지 않고도 내장되어 있는 칩을 이용하여 위의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다시 정리해 보자면  e 심이란 물리적인 유심칩을 사용하지 않고도 이미 스마트폰에 유심칩과 같은 역할을 하는 부분이 내장되어 있어 굳이 유심을 사용하지 않고도 휴대전화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죠. 거기다 물리적인 유심까지 사용할 수 있으니 하나의 휴대폰에서 2개의 번호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e 심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통신사에 e 심 개통 신청을 하면 QR코드를 전달받게 됩니다. 이 QR을 스캔하게 되면 소프트웨어를 통해 e 심에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 가능합니다. 하지만 앞에서 얘기드린 바와 같이 국내 휴대폰의 경우에는 이번에 새로 출시한 갤럭시 폴드 4, 플립 4부터 사용이 가능한 서비스입니다.

 

기존의 듀얼 넘버와 차이점은?

이전에도 듀얼 넘버라는 서비스를 통해 하나의 전화기에 2개의 번호를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과거부터 존재했습니다. 하지만 e 심과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는 건 듀얼 넘버는 결국 하나의 통신사에서 2개의 번호를 쓸 수 있게 부가 서비스 형식으로 제공하는 것이죠. 

 

하지만 e심의 경우는 서로 다른 통신사를 이용하여 2개의 번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로 생기는 장점으로는 각각 내 입맛에 맞는 통신사를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죠. 또 하나의 장점으로는 서로 다른 통신사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통신사에서 잘 연결이 되지 않는 지역에서는 다른 통신사로 사용할 수 도 있죠.

 

물론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발생하는 일은 아니지만 국토의 면적이 넓어 하나의 통신사로 전체를 커버하기 어려운 국가에서는 매우 유용하게 쓰이는 기능입니다.

 

e심의 장점

우리나라의 휴대전화 개통 수는 5,500만 건으로 인구수보다 더 많은데요. 그렇다는 건 한 명이 2개의 번호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죠. 이 경우 2개의 번호를 사용하기 위해서 기존에는 2개의 기기를 사용해야 했는데요.

 

이때 발생하는 문제점으로는 기기가 2개이기 때문에 무게도 생각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공간도 더 많이 차지하죠. 또한 2개의 기계를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충전 등에도 더 많은 시간을 소모하게 됩니다. 따라서 e 심을 쓰면 하나의 기기로 2개의 번호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훨씬 용이하죠.

 

그럼 왜 2개의 번호를 사용할까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업무용과 사생 활용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죠. 퇴근 후에 회사 사람에게 카톡을 받고 싶지 않은 마음,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생각해봤을 겁니다. 하지만 전화기를 두 개 가지고 있다가 들키는 것도 매우 이상한 상황이 연출될 수 있죠. 이런 경우 e 심을 통해 분리해놓는다면 좀 더 자연스러울 수 있을 겁니다.

 

또 자동차를 주차했을 때와 같이 노출된 환경에 번호를 제공해야 할 때 잘 사용하지 않는 번호를 적어둘 수도 있겠죠.

 

또한 e심의 장점으로는 아까 얘기드린 바와 같이 2개의 통신사를 사용할 수 있다는 건데요. 이때 전화를 많이 사용하는 번호는 통화시간이 넉넉한 요금제 저렴한 통신사를 고르고, 데이터를 많이 사용하는 번호는 데이터가 넉넉하고 요금이 저렴한 통신사를 각각 고를 수 있겠죠. 이렇게 선택하여 조합했을 때 오히려 요금이 더 줄어들 수도 있고, 앞으로 요금제가 더욱 다양해진다면 더 많은 조합으로 소비자가 더 효율적인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겠죠.

 

다만 유심과 다르게 기기변경 시 e 심을 다시 다운로드하여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e심의 경우 휴대기기를 변경할 때마다 e심의 다운로드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기존의 유심의 경우는 새로운 기기에 유심만 바로 이동하면 됐으니 비용이 따로 발생할 일이 없었죠.

 

728x90
반응형

댓글